Breaking Into Wall Street (BIWS)의 기초 회계관련 질문 001~010입니다. 재무제표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001. 재무제표의 3가지 종류는 무엇인가요? (Walk me through the 3 financial statements)
002. 각 재무제표의 주요 계정에는 무엇이 있나요? (Can you give examples of major line items on each of the financial statements?)
재무제표란 기업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를 보여주는 문서로 아래 3가지 종류 -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 가 있음.
1)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I/S)
- 정의: 기업의 매출과 비용을 기반으로 당기순이익을 계산하는 재무제표.
- 주요 계정: 매출, 매출원가, 판매비와관리비(판관비), 운영비,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당기순이익
2) 재무상태표, 대차대조표 (Balance Sheet, B/S)
- 정의: 기업의 자산(Asset), 부채(Liabilities), 자본(Shareholders' Equity)를 나타내는 재무제표. 부채와 자본의 합은 자산과 동일해야 함.
- 주요 계정
1. 자산: 유동자산, 비유동자산
2. 부채: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3. 자본: 자본금, 이익잉여금


3) 현금흐름표 (Cash Flow Statement, CF)
: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Operating, Investing, Financing activities)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 및 이에 기반한 현금의 변화를 나타내는 재무제표.


003. 3가지의 재무제표가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나요? (How do the 3 statements link together?)
1. 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은 재무상태표 상의 자본금과 현금흐름표의 탑라인으로 연결됨.
2. 재무상태표의 계정 변화가 현금흐름표 상에서 운전자본의 변화로 나타남. 현금프름표의 투자/재무활동이 재무상태표의 유형자산, 부채, 자본금 등의 변화로 나타남.
3. 현금흐름표 상의 현금순증감이 재무상태표 상의 자본금 항목들로 연결됨.
004. 어떤 기업의 전반적인 재정적 건전성을 살펴보기 위해 하나의 재무제표만 활용할 수 있다면 무엇을 쓸 것인가요? (If I were stranded on a desert island, only had 1 statement and I wanted to review the overall health of a company – which statement would I use and why?)
현금흐름표를 활용할 것임. 비현금비용과 무관하게 기업이 실제로 창출하고 있는 현금을 볼 수 있기 때문. 기업의 현금흐름 창출능력이 사업의 재정적 건전성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함.
005. 기업의 전망을 분석하기 위해 2가지의 재무제표만 활용할 수 있다면 어떤 것들을 활용할 것인가요? (Let’s say I could only look at 2 statements to assess a company’s prospects – which 2 would I use and why?)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를 활용할 것임. 연속된 두 개 회계기간에 대한 I/S, B/S가 있다는 가정 아래, 둘을 이용해 현금흐름표를 작성할 수 있기 때문.
006. 감가상각비가 $10 증가했을 때 각 재무제표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Walk me through how Depreciation going up by $10 would affect the statements.)
1. 손익계산서: 영업이익이 $10 달러 감소하고, 세율이 40%라고 가정했을 때 당기순이익이 $6 감소함.
2. 현금흐름표: 탑라인의 당기순이익이 $6 감소하지만, 감가상각비는 비현금비용이므로 다시 더해주어야 함. 따라서 전체 영업현금흐름은 $4 증가함. 따라서 현금순증감도 $4 증가함.
3. 재무상태표: 감가상각으로 인해 유형자산이 $10 감소하고 현금이 $4 증가한 결과, 자산이 $6 감소함. 당기순이익이 $6 감소하므로 자본금 역시 $6 감소함.
*팁1: 이렇게 특정 계정의 변동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의 경우, 손익계산서 -> 현금흐름표 -> 재무상태표 순서로 답하는 것을 추천. 마지막에 재무상태표의 대변/차변 변화가 동일한지 체크할 것.
*팁2: 자산의 증가는 현금흐름의 감소를, 부채의 증가는 현금흐름의 증가를 가져온다는 것을 기억할 것.
007. 감가상각비는 비현금비용임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현금 보유량에 영향을 미치나요? (If Depreciation is a non-cash expense, why does it affect the cash balance?)
감가상각비로 인해 세금이 감소하기 때문. 이 때, 세금이 현금성 비용이므로 감가상각비는 내야하는 세금을 줄여줌.
008. 손익계산서 상에서 감가상각비는 어디에 나타나나요? (Where does Depreciation usually show up on the Income Statement?)
회사마다 처리하는 방식이 다름. 별도의 항목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매출원가나 운영비용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음. 처리 방식과 무관하게 감가상각비는 항상 세전이익을 감소시킴.
009. 미지급 퇴직금이 $10 증가하면 어떤 변화가 나타나나요? (What happens when Accrued Compensation goes up by $10?)
(미지급 퇴직금은 비용으로 인식된다고 가정)
1. 손익계산서: 운영비용이 $10 증가하여 세전이익이 $10 감소하고, 당기순이익은 $6 감소함(세율 40%로 가정)
2. 현금흐름표: 미지급 퇴직금 증가로 인해 현금흐름이 $10 증가하고 당기순이익이 $6 감소했으므로 영업현금흐름은 $4 증가함. 현금순증감 역시 $4 증가함.
3. 재무상태표: 현금이 $4 증가하므로 자산도 $4 증가함. 미지급 퇴직금 증가로 인해 부채는 $10 증가함. 당기순이익이 $6 감소했으므로 자본금이 $6 감소함.
010. 재고자산이 $10 증가하고 이를 현금으로 매입했다고 가정할 때 어떤 변화가 발생하나요? (What happens when Inventory goes up by $10, assuming you pay for it with cash?)
1. 손익계산서: 변동없음. (실제로 판매/소비되지 않은 재고는 손익계산서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실제 판매되는 시점에 비용으로 처리됨)
2. 현금흐름표: 자산이 증가했으므로 현금은 $10 감소. 이에 따라 현금순증감도 $10 감소.
3. 재무상태표: 재고자산이 $10 증가하고 현금은 $10 감소하므로 자산의 순변동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