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공부/Breaking Into Wall Street 해석

[Breaking Into Wall Street 한국어 해석 - 3 / 금융권 면접 준비 / 회계 기초] 비현금비용, 현금주의, 발생주의 회계

반응형

Breaking Into Wall Street (BIWS)의 기초회계 관련 질문 021~030입니다. 

 

021. $100 구제금융이 이루어졌을 때 재무제표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가? (Walk me through a $100 “bailout” of a company and how it affects the 3 statements.)

어떤 종류의 구제금융인지 - 부채인지, 에쿼티인지, 둘 모두인지 - 를 파악해야 함. 가장 일반적인 정부의 에쿼티 투자 케이스는 다음과 같음.

 1. 손익계산서: 변화 없음.

 2. 현금흐름표: 순현금이 $100 증가함

 3. 재무상태표: 현금이 $100 증가하여 자산이 $100 증가. 자본이 $100 증가. 따라서 대변-차변 균형 유지.

 

022.  재무상태표 상의 부채가 $100만큼 상각된 경우 재무제표가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가? (Walk me through a $100 write-down of debt – as in OWED debt, a liability – on a company’s balance sheet and how it affects the 3 statements.)

 1. 손익계산서: 부채가 탕감된 경우 손익계산서 상에 수익으로 기록됨. 따라서 세전이익은 $100 증가하며, 세율 40%로 가정할 경우 순이익은 $60 증가함. 

 2. 현금흐름표: 탑라인에서 순이익이 $60 증가했음. 부채 탕감은 실제로 현금이 들어온 것은 아니므로 $100을 다시 빼줘야함. 따라서 순현금증감은 $40 감소.

 3. 재무상태표: 현금이 $40 감소하므로 자산은 $40 감소. 순이익이 $60 증가하므로 자본이 $60 증가하며, 부채는 $100 감소했음. 따라서 대변-차변의 균형 유지. 

 

023. 기업이 고객으로부터 현금을 받았지만 매출로 기록하지 않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 (When would a company collect cash from a customer and not record it as revenue?)

3가지 예시가 있음. 

 1. 웹기반 구독 소프트웨어

 2. 연단위 계약으로 판매하는 핸드폰 통신사

 3. 구독제 잡지 출판사

 

미래에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계약하는 기업은 안정적 매출 창출을 위해 현금을 미리 받는 경우들이 많음. 투자자들은 기업의 성과를 예측하기 좋기 때문에 이런 특성을 선호함. 회계 규칙 상 서비스를 실제로 제공했을 때만 매출로 기록하기 때문에, 현금을 바로 받았을 때 기록하지 않음. 

 

024. 현금이 매출로 기록되지 않는다면 그 현금은 어떻게 처리되는가? (If cash collected is not recorded as revenue, what happens to it?)

보통 재무상태표 상에서 부채 중 하나인 선수수익(Deferred Revenue)으로 기록됨.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선수수익이 손익계산서 상의 실제 매출로 전환됨. 

 

025. 매출채권과 선수수익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ccounts receivable and deferred revenue?)

매출채권은 매출로 인식은 되었지만 고객으로부터 아직 현금은 받지 못한 경우임. 선수수익은 이미 고객으로부터 현금을 받았고 매출로 인식 예정인 경우임. 

 

026. 매출채권을 회수하기 위해 평균적으로 얼마나 소요되는가? (How long does it usually take for a company to collect its accounts receivable balance?)

매출채권 회수일은 보통 30~60일 정도임. 고가의 상품들은 회수일이 더 길고, 거래 건당 가치가 낮은 기업은 짧음. 

 

027. 현금주의와 발생주의 회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cash-based and accrual accounting?)

 - 현금주의 회계: 현금의 유출입이 이루어진 시점으로 매출과 비용을 인식함.

 - 발생주의 회계: 매출의 경우 수익이 실현되었을 때 또는 수익 실현을 합리적으로 확신할 수 있을 때(ex. 고객이 상품을 주문했을 때) 인식됨. 비용의 경우 실제로 발생했을 때 인식됨. 

 

보통 대형기업들은 발생주의 회계를 사용하는데, 이는 신용을 활발하게 활용하기 때문임. 작은 기업들의 경우 재무제표를 단순화하기 위해 현금주의 회계를 사용함. 

 

028. 고객이 신용카드로 TV를 구입했다고 하자. 현금주의와 발생주의 회계에서 이는 어떻게 기록되는가? (Let’s say a customer pays for a TV with a credit card. What would this look like under cash-based vs. accrual accounting?)

 - 현금주의 회계: 기업이 신용카드 대금을 청구해서 실제로 돈을 계좌에 넣기 전까지는 매출로 인식되지 않으며, 재무상태표 상의 현금에도 기록되지 않음.

 - 발생주의 회계: 고객이 구입한 즉시 매출로 인식됨. 하지만 재무상태표 상에서는 현금이 아니라 매출채권으로 인식되며, 현금이 계좌에 들어오는 시점에 현금으로 전환됨.

 

029. 어떤 대상을 구매했을 때 비용이 아니라 자산으로 인식되는 기준은 무엇인가? (How do you decide when to capitalize rather than expense a purchase?)

1년 이상 유용한 가치를 지닌다면 자산으로 인식됨. 즉, 손익계산서의 비용이 아니라 재무상태표 상에 기록되고 이후 수년에 걸쳐 감가상각비를 통해 비용으로 인식됨. 대표적인 예시가 공장, 기계장비, 토지 등임. 

 

*감가와 상각은 가치가 감소한다는 점에서 같지만 그 대상이 다름.

  - 감가(Depreciation): 유형자산에 대해 사용

  - 상각(Amortization): 무형자산에 대해 사용 

 

030. (미국) 기업들이 GAAP와 non-GAAP 이익을 모두 보고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Why do companies report both GAAP and non-GAAP (or “Pro Forma”) earnings?)

 - GAAP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회계감사의 표준이 되는 회계기준. 

 - non-GAAP: 일회성 비용은 제외하고 처리하는 회계기준으로, 실적이 더 높아보이게 함. 

 

최근 많은 기업들이 비현금비용(무형자산 상각비, 주식보상 방식 등)을 지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GAAP는 기업의 실제 수익성을 제대로 나타내지 못한다는 이야기도 있음. 때문에 회사마다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 회계를 하기 위해 non-GAAP도 함께 보고하는 것. (더 자세한 설명은 이 글을 참고하세요!)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