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공부/Breaking Into Wall Street 해석

[Breaking Into Wall Street 한국어 해석 - 2 / 금융권 면접 준비 / 회계 기초] 재고자산, 감가상각, 운전자본

반응형

오늘은 이어서 011부터 020번 질문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재고자산, 감가상각, 운전자본에 대한 내용들입니다. 

 

011. 재고자산의 변화는 왜 손익계산서에 영향을 미치지 않나요? (Why is the Income Statement not affected by changes in Inventory?)

 

재고자산의 경우, 판매가 된 물건에 해당하는 부분만 비용으로 인식됨. 그래서 계속 재고로 남아있는 한, 매출원가나 운영비용으로 계산되지 않음. 즉, 운전자본의 변화는 손익계산서 상에 나타나지 않음. 

 

*(순)운전자본이 무엇인지 궁금하시다면 아래 018, 019를 먼저 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012. 애플이 부채를 통해 $100 규모의 아이패드 공장을 매수하려고 한다. 다른 조건들은 변화가 없을 때, "Year1" 시작 시점에 3가지 재무제표가 어떻게 달라지나요? (Let's say Apple is buying $100 worth of new iPad factories with debt. How are all 3 statements affected at the start of "Year1", before anything happens?)

 1. 손익계산서: 다른 조건들에 변화가 없으므로 손익계산서도 변화 없음.

 2. 현금흐름표: 부채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면서 $100의 현금 유입. 공장을 매수하면서 투자활동 현금흐름에서 $100의 현금 유출 발생. 따라서 순현금증감은 0임.

 3. 재무상태표: 부채가 $100 증가하고 유형자산(공장)이 $100 증가함. 따라서 대변-차변의 균형이 유지됨. 

 

 

013. 위 사례에서 1년이 지나 "Year2"시작 시점이 되었다고 하자. 부채를 높은 이자율로 조달해서 원금 상환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가정하자. 이자율이 10%이고 공장의 감가상각률이 연 10%라고 할 때 어떤 변화가 발생하나요? (Now let’s go out 1 year, to the start of Year 2. Assume the debt is high-yield so no principal is paid off, and assume an interest rate of 10%. Also assume the factories depreciate at a rate of 10% per year. What happens?)

 1. 손익계산서: 감가상각비가 $100*10%=$10만큼 발생하므로 운영수익이 $10 감소함. 이자비용이 $100*10%=$10만큼 발생함. 따라서 세전수익이 $20 감소하고, 세율이 40%라고 가정하면 순이익은 $12 감소함. 

 2. 현금흐름표: 탑라인의 순이익이 $12 감소함. 감가상각비는 비현금비용이므로 순현금증감 계산 시 더해줘야 하는 항목임. 따라서 현금은 -$12+$10 = -$2 만큼 변동이 발생함.. 

 3. 재무상태표: 유형자산의 가치가 $10 감소하고 현금은 $2 감소하므로 자산은 $12 감소함. 순이익이 $12 감소하므로 자본금이 $12 감소함. 따라서 대변-차변의 균형 유지됨.

 

014. 이제 "Year3" 시작시점이 되었고, 공장이 모두 허물어지고 장비들의 장부가치가 $0이 되었다고 하자. 이제 대출을 갚아야 하는 상황에서 3가지 재무제표의 변화를 설명해 보세요. (At the start of Year 3, the factories all break down and the value of the equipment is written down to $0. The loan must also be paid back now. Walk me through the 3 statements.)

 1. 손익계산서: 2년이 지난 뒤이므로 공장의 가치는 $100-$10*2 = $80가 됨. 따라서 세전수익은 $80 감소하고, 세율이 40%라는 가정하에 순이익은 $48 감소함. 

 2. 현금흐름표: 순이익이 $48 감소하였으나, $80은 비현금비용이므로 다시 더해주어야 함. 따라서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32 증가함. 또한 대출 원금을 갚기 위해 $100의 현금유출이 발생하므로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100 감소함. 따라서 현금순증감은 $68 감소함. 

 3. 재무상태표: 현금은 $68, 유형자산(공장)은 $80 감소하므로 자산은 $148 감소함. 부채는 $100 감소하고, 순이익은 $48 감소함. 따라서 대변-차변의 균형 유지됨.

 

015. 다른 사례로 넘어가서, 애플이 아이패드 재고를 $10만큼 주문한 사례를 생각해 보자. 재고를 주문했지만 제조나 판매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어떤 변화가 생기나요? (Now let’s look at a different scenario and assume Apple is ordering $10 of additional iPad inventory, using cash on hand. They order the inventory, but they have not manufactured or sold anything yet – what happens to the 3 statements?)

 1. 손익계산서: 변화 없음.

 2. 현금흐름표: 재고 주문을 위해 영업활동 현금흐름에서 $10 감소하고 순현금증감도 동일.

 3. 재무상태표: 재고자산이 $10 증가하고 현금이 $10 감소함. 따라서 자산 변동은 $0

 

016. 이제 아이패드를 $20에 판매했고 비용은 $10이라고 가정했을 때 재무제표 변화를 설명해 보세요. (Now let’s say they sell the iPads for revenue of $20, at a cost of $10. Walk me through the 3 statements under this scenario.)

 1. 손익계산서: 매출이 $20 증가하고 매출원가가 $10 증가함. 따라서 매출총이익 및 영업이익이 $10 증가함. 세율이 40%라 가정하면 순이익은 $6 증가함. 

 2. 현금흐름표: 탑라인의 순이익이 $6 증가함. 재고자산이 $10 감소하였으므로 현금흐름은 $10 증가함. 따라서 순현금증감은 $16임. 

 3. 재무상태표: 재고자산이 $10 감소하고 현금이 $16 증가하므로 자산은 $6 증가함. 순이익이 $6 증가함. 따라서 대-차변의 균형 유지됨.

 

017. 자본금이 음수가 될 수 있나요? 이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Could you ever end up with negative shareholders’ equity? What does it mean?)

 가능함. 2가지 정도의 시나리오가 있음. 

 1. 배당금 자본재구성(dividend recap)이 이루어지는 레버리지 바이아웃의 경우: 기업의 주주가 주로 현금의 형태로 에쿼티(자본금)를 가져가면서 자본금이 음수가 될 수 있음. (다소 복잡한 개념이라 별도 포스팅 업로드 예정입니다.)

 2. 기업이 계속해서 돈을 잃고 있어서 자본금의 한 계정인 이익잉여금(Retained Earnings)가 감소하는 경우. 

 

018. 운전자본이란 무엇인가요? 언제 사용되나요? (What is Working Capital? How is it used?)

: 운전자본은 유동자산에서 유동부채를 뺀 것. 운전자본이 양수라면, 기업이 단기 자산을 통해 단기 부채를 상환할 수 있음을 의미함. 

- 활용: 운전자본의 크기 및 부호를 통해 기업의 건전성을 판단할 수 있음. 

- 실무에서는 Operating Workgng Capital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유동자산 - 현금및현금성자산) - (유동부채 - 채무)"로 계산함. 즉, 기업의 금융조달 활동(현금 및 채무)를 제외하는 것. 

- "매출채권+재고자산 - 매입채무"로 계산하기도 함. 

 

019. 운전자본이 음수인 것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기업에 대한 나쁜 신호인가요? (What does negative Working Capital mean? Is that a bad sign?)

꼭 그렇지는 않음. 회사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다르며 다음과 같은 해석들이 존재함. 

 1. 구독이나 장기 계약에 기반한 회사들은 이연수익(선수수익)이 높기 때문에 운전자본이 음수일 수 있음. 

 2. 소비 및 레스토랑 기업들(아마존, 월마트, 맥도날드 등)처럼 소비자들이 선불로 결제하는 경우가 있음. 이렇게 소비자들에게 받은 현금을 보유하는 대신 매입채무를 상환하면 운전자본은 음수가 되지만 사업의 효율성을 높임.  

 3. 재정적 문제나 파산 가능성을 야기할 수 있는 경우들도 있음. 일례로, 소비자가 빨리 대금을 납부하지 않고 기업의 부채 잔액이 높은 경우가 있음. 

 

020. $100의 감가상각이 발생하면 재무제표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나요?  

 1. 손익계산서: 감가상각으로 인해 세전이익 $100 감소. 세율 40% 가정 시 순이익 $60 감소.

 2. 현금흐름표: 순이익이 $60 감소하였지만 감가상각비는 비현금비용이므로 $100 더해줌. 따라서 현금순증감은 $40 증가.

 3. 재무상태표: 현금이 $40 증가하고 감가상각된 자산의 가치가 $100 감소하므로 자산은 $60 감소함. 순이익이 $60 감소하므로 자본이 $60 감소. 따라서 대-차변 균형 유지. 

 

반응형

 

반응형